청년들에게 목돈을 쥐어줄 수 있는 정부 지원 금융상품이 6월 중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상품은 무엇인지, 희망 적금과 비교를 해보고 동시 가입이 가능한지, 신청 대상과 기간,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청년 도약 계좌란?
매달 최대 70만원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의 지원금과 은행의 이자를 더하여 만기에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저축 상품입니다.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1만원만 납입해도 계좌는 유지됩니다. 하지만 납입금에 비례해 정부기여금이 배정되기 때문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신청 대상
- 만 19세~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은 연령 계산에서 뺍니다)
- 개인의 연소득이 7500만원 이하 (23년 7~8월 이후에 전년도 과세기간 소득 확인이 가능하므로 전전년도 소득을 활용하여 가입이 가능)
-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인 청년
2023년 기준 가구소득 중위 소득표 보기 (기준: 월/원)
180% 이하인 소득은 두껍게 표시해 두었으니 가구원수와 소득을 파악하시어 대상이 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가구원 수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중위 소득 300% | 6,233,676 | 10,368,465 | 13,304,448 | 16,202,892 |
중위 소득 200% | 4,155,784 | 6,912,310 | 8,869,632 | 10,801,928 |
중위 소득 190% | 3,947,995 | 6,566,695 | 8,426,150 | 10,261,832 |
중위 소득 180% | 3,740,206 | 6,221,079 | 7,982,669 | 9,721,735 |
중위 소득 150% | 3,116,838 | 5,184,233 | 6,652,224 | 8,101,446 |
중위 소득 120% | 2,493,470 | 4,147,386 | 5,321,779 | 6,481,157 |
중위 소득 100%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프리랜서나 사업소득은 포함이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 겁니다. 주의하실 점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프리랜서 포함)을 모두 포함한 연 소득이 6,000만원이면서 가구 소득 중위 180%이내라면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청년 도약 계좌에 가입하실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간 및 방법
2023년 6월 중순부터 신청 접수를 시작하여 12월까지 매월 가입신청을 받는다고 합니다. 비대면으로 가입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가입 신청 후 소득 심사를 거쳐서 가입 승인이 결정납니다.
승인 완료 까지 대략 2~3주의 심사 기간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자세한 가입 안내 및 문의는 아래 서민 금융진흥원 홈페이지와 콜센터 번호를 안내해드릴테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민 금융 진흥원 고객센터
☎ (지역번호 없이) 1397
예상 금리 시뮬레이션
현재 정부는 6월 12일 금리를 고시할 예정입니다. 정부가 발표한 바에 의하면 '5년관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해 주겠다'라고 했기 때문에 금리를 예상해 볼 수는 있습니다. 최대 납입이 가능한 70만 원을 5년 납입하여 5,000만 원이 넘으려면 연 이자율은 6.15%에 달합니다. 상당히 매력적인 이자입니다. 심지어 이자에 과세도 부과되지 않습니다. 현재(2023년 5월)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가 3.5%인 것을 감안할 때 이 적금은 조건이 된다면 무조건 가입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소득에 따른 기여금 지급 한도
- 금리는 3년을 고정으로 하고 2년을 변동으로 한다고 합니다.
- 저소득층 청년 (2,400만 원 이하)은 우대금리를 부여해 준다고 합니다.
개인 소득 | 기여금 지급 한도(월) | 기여금 매칭 비율 | 추가 기여금 한도(월) |
2,400만원 이하 | 40만원까지 | 6.0% |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50만원까지 | 4.6% | 2.3만원 |
4,800만원 이하 | 60만원까지 | 3.7% | 2.2만원 |
6,000만원 이하 | 70만원까지 | 3.0% | 2.1만원 |
7,500만원 이하 | - | - | - |
청년 희망 적금과 비교
구분 | 청년 도약 계좌 | 청년 희망 적금 |
지원 대상 | 만 19~34세 (병역 기간 포함 안함) | |
소득 조건 |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납입 기간 | 만기 5년 | 만기 2년 |
이자 혜택 | 시중금리 + 소득에 따른 정부 기여금 3~6% 정부 기여금 | 시중금리 + 정부 기여금 |
정부기여금 | 월 최대 24,000원 (5년간 최대 144만원) | 만기 시 최대 36만원 |
중복가능할까?
아쉽게도 불가능합니다. 만기가 되거나 중도해지를 해야 청년 도약 계좌로 순차적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저소득층 청년은 청년 내일 저축 계좌와 동시 가입이 허용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희망 적금, 해지하고 갈아탈까?
결론을 말씀드리면 만약 특별 중도해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으신다면 해지하시면 무조건 손해입니다. 아무리 도약계좌의 혜택이 좋다 하더라도, 희망적금의 저축 장려금과 이자 소득세 면제라는 혜택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 시뮬레이션을 보시면 이해가 가실 겁니다.
일반 5% 적금 | 청년 희망 적금 | 일반 9.31% 적금 | |
총 납입 금액 | 12,000,000원 | ||
세전 은행 이자 | 625,000원 | 약 1,164,000원 | |
이자 소득세 | -96,250원 | 0원 | 약 -179,000원 |
저축 장려금 | 0원 | 360,000원 | 0원 |
만기 시 지급액 | 12,528,750원 | 12,985,000원 | |
차이 | 456,250원 |
위의 표를 보시면 만기 시 받는 저축 장려금과 이자 소득세가 있어 결국 만기 수령 시 일반 적금 중 9.31% 금리의 적금 만기 시 수령하는 금액과 동일해집니다. 도약 계좌의 최대 지원 금리가 9%까진 절대 되지 않을 것입니다. 때문에 해지하지 마시고 만기 수령 하신 뒤 가입하실 수 있다면 이어 가입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정부 발표 주요 Q&A 자료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내용을 담은 자료를 첨부해 두었으니 보시고 충분한 정보를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6월에 신청이 시작되고 금리가 확정이 되면 수정 내용과 추가 내용을 반영하여 포스팅할 예정이니 이 글을 저장해 두시거나 필요하신 분들에게 공유해 주시면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달달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이 두렵지 않은 클린 다이어트 초간단 식단 레시피 모음집 (1) | 2023.05.08 |
---|---|
생연어 필렛을 맛있게 먹는 방법 (1) | 2023.05.05 |
송금 실수 했을 때 돈을 돌려받는 방법 (0) | 2023.05.03 |
해촉증명서 양식 제출과 건강보험 환급 방법 (0) | 2023.04.23 |
라벨스티커 테스트 종류 바로가기 결과 확인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