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촉증명서는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로 종료 시 이것을 모른다면 큰 불이익을 떠안게 될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반드시 알아두시고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 필요한 사람에게 알려주세요. 해촉증명서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를 알아보고 발급하는 방법과 팩스 없이도 보내는 방법, 환급받는 데 필요한 절차 등 모든 정보를 다 퍼드리겠습니다.
- 목차 -
해촉증명서란 무엇인가?
해촉증명서는 간단히 말하면 계약서의 종류 중 하나로, 나와 작업했던 회사와의 거래가 끝나 거래 관계가 종료돼었다는 사실을 알리는 서류입니다. 해촉증명서는 프리랜서와 휴업이나 폐업을 하게 되어 소득이 감소한 개인 사업자도 필요한 서류이니 해당되시는 분들께서는 반드시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이유
일반 임금 근로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직장 가입자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프리랜서는 지역가입자의 지위를 가지므로, 직장 가입자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업주와 근로자가 절반씩 부담하는 직장 가입자와 달리, 지역 가입자는 100% 전액 매달 본인이 부담해야합니다.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이기 때문에, 근무 종료 시 해촉증명서를 통해 업무가 종료됨을 보험공단에 증명하지 않는다면 소득자로 분류하여 매달 보험료를 청구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증명서를 제출하여 제외 신청을 해야 합니다.
발급하는 방법
가장 간단한 방법은 사업장에 연락해 해촉증명서를 요청하면 됩니다. 그럼 사업장에서 기존에 갖고 있는 양식으로 만들어서 보내줄 수도 있고 양식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를 대비하여 해촉 증명서 양식을 아래 첨부파일로 올려두었으니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가장 편리한 방법은 근로 게약 종료 시기가 다가온다면 미리 해촉증명서를 출력해 가서 바로 요청하여 받아둔다면 추후 연락하여 요청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이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업체가 발급을 거부할 경우 대처법
업체가 자신에게 이득이 되지도 않기 때문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아래 양식 다운로드 링크를 달아두었으니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발급을 거부한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해당 업체에 대하여 신고하시고 해결 방법을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공단 측에서 접수하고 나면 업체에 직접 연락하여 해촉증명서를 거부한 사유에 대하여 의견을 청취하기 때문에 바로 해결됩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전화번호: 1577-1000 (발신자 부담)
발급 후 보험료 조정 방법
업무 관계가 종료된 근로자는 해촉증명서를 사업장으로부터 발급받아야 합니다. 사업장 직인이나 대표자 날인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소득 정산부과 동의서와 신분증 사본을 함께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민연금공단에 팩스 또는 우편으로 발송해야 합니다. 팩스번호를 찾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서류를 보내신 뒤 아래 공단 번호로 연락하여 발송 사실과 조정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문의해 보시면 됩니다. 이후 전산에 반영되면 공단으로부터 메시지를 받게 될 것입니다. 과납되었던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료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전화번호: 1577-1000 (발신자 부담)
☝🏻위의 팩스 번호 찾기를 누르신 후 본인의 해당 지역 지사를 누르시면 팩스번호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팩스 발송이 불가능한 경우 대처법
팩스가 주변에 없거나 발송이 불가능한 상황에 계신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그렇다면 방법이 있습니다. 모바일 팩스를 검색하시어 앱을 다운로드하여 사진을 찍어 그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혹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앱을 다운로드하신 후 고객센터와 상담을 통해 문자로 전송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앱 다운로드 링크는 아래 버튼을 누르시면 연결됩니다.
필요 서류 양식 공유
필요한 서류인 해촉증명서와 소득 정산부과 동의서 양식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한글과 워드 버전으로 모두 준비해 두었으니 편한 대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사업장의 날인이나 대표자의 직인을 받으시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서류 상단에 '보험료 조정, 이름, 전화번호'를 써서 신분증 사본과 함께 팩스를 보내야 처리 완료 결과를 메시지로 받으실 수 있으니 반드시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달달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연어 필렛을 맛있게 먹는 방법 (1) | 2023.05.05 |
---|---|
청년 도약 계좌와 희망 적금 중복 가능할까? (0) | 2023.05.04 |
송금 실수 했을 때 돈을 돌려받는 방법 (0) | 2023.05.03 |
라벨스티커 테스트 종류 바로가기 결과 확인 (0) | 2023.04.20 |
군포 철쭉 축제 기간 장소 주차 정리 (0) | 2023.04.19 |